리눅스&VM 실습 정리

centos7 책 이론+실습 기록 ..#1

Weeding 2022. 9. 5. 23:06
반응형
SMALL

NIC

= LAN 카드, LAN 어댑터, LAN 포트, 네트워크 카드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 메인보드에 포함된 카드

 

 

MAC Address

- NIC와 같은 네트워크 장치에 부여된 고유 번호

- 6byte

- LAN 내부에서 네트워크 장치를 식별하는데 사용

 

 

bit (binary digit)

- 컴퓨터 용량이나 처리 능력의 가장 작은 단위

- 0, 1 값을가짐

 

 

패킷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를 분할하고 데이터를 붙여 보낼 수 있게 만든 것.

 

 

TCP/IP

- 오늘날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대부분 이더넷을 사용해서 물리적으로 접속하는데, 이더넷에서 컴퓨터끼리 통신 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가 바로 TCP/IP 프로토콜(통신 규약) 

 

- LAN 안에도 윈도, 맥, 리눅스 등 다양한 이기종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음.

이러한 이기종 컴퓨터 사이의 통신을 위해 정한 공통 프로토콜이 TCP/IP

 

 

 

루프백 주소

- 동작 테스트를 하거나 자신을 상대로 통신할 때 사용하는 특수 IP 주소

- 보통 127.0.0.1을 사용

 

 

 

 

사설 IP 주소

- LAN 내부의 컴퓨터의 IP 주소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소

- 클래스 A : 10.0.0.0 ~ 10.255.255.255

- 클래스 B : 172.16.0.0 ~ 172.31.255.255

- 클래스 C : 192.168.0.0 ~ 192.168.255.255

 

가정이나 소규모 기업 인터넷 공유기는 보통 LAN IP 주소에 192.168.0.1 (또는 192.168.1.1)을 할당함.

  ---> 192.168.0.0 , 192.168.1.0 은 네트워크 주소이기 때문에 할당 X

 

 

** 공인IP / 사설IP /유동IP / 고정IP 구분

  • 모두 ip를 부르는 말이지만 ip 숫자 및 ip를 지정하는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다.

  • 공인 ip와 사설 ip는 전체 ip 중에서 전세계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냐, 개인적인 네트워크망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냐에 따라서 ip의 이름을 구분한 것이다.

  • 고정 ip와 유동 ip는 전체 ip 중에서 직접 지정해서 사용할지, 자동으로 ip를 설정해서 사용할지를 구분하는 것이다.

  • 공인ip/사설ip = ip 구분 이름
    고정ip/유동ip = ip 지정 방식

 

 

Classless

- IP 주소를 낭비 없이 사용하고자 클래스에 구애받지 않고 네트워크를 할당하는 방법

- 받아서 자유롭게 설정

- ex) RIP version1(classful) , 2(classless)

 

 

 

NAPT (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

- NAT 확장 기술

- 통신 시 사용하는 포트번호 정보를 주소 변환 시 함께 사용하여 공인 IP 1개를 LAN 안의 여러 컴퓨터가 함께 쓸 수 있게 해줌.

- 사설 IP 주소를 할당받은 여러 컴퓨터가 공유기(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에 동시 접속 가능!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하기

  • NIC 드라이버를 적절하게 설치하는것부터 시작!
  • CentOS에는 udev라고 하는 하드웨어 자동 인식 기능이 있음.
  • 리눅스를 지원하는 NIC이면 설치 시에 혹은 시스템을 재시작할 때 자동으로 NIC을 인식하여 드라이버를 설치하므로 다른 작업 없이 바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음.
  • NIC를 인식하고 물리적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해도 IP 주소 등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설정하지 않으면 통신 X 

 

 

 

인터넷에 서버 공개 준비하기

  • 인터넷 호스트 -> LAN 내부 운영 중인 서버로 바로 접근 X
  • why? 
    1. 인터넷 공유기가 외부 접근을 차단함.
    --> 인터넷 공유기에는 IP 패킷 중계 기능이 있긴하지만, LAN 안에서 서버가 어떤 IP 주소를 사용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패킷 중계를 부탁할 수가 없고, 반대로는 보안 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기능이 꺼져있음!

    2. 공인 IP 주소가 바뀜
    --> ISP가 할당한 공인 IP 주소가 정기적으로 혹은 접속할 때마다 변경되기 때문에 접근 X
     -->> 고정 공인 IP 주소로 운영한다면 이 문제는 발생하지 않음!

 

따라서, 서버를 인터넷에 공개하려면

  1. 포트 포워딩 설정하기
    - 서비스의 종류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포트 번호'를 활용하는 방법
    --> 포트번호란 '서비스 종류'를 설정하고자 사용하는것 (=회사의 내선 번호와 비슷한 개념)
    ex) FTP = 20, 21
          SMTP = 25
          HTTP = 80

★포트포워딩 = 외부에서 내부로 접속시 특정 포트를 감지하게 되면 해당 정보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컴퓨터로 연결 하는 방법 /   즉, 공유기에서 외부IP + 포트번호를 통해 내부 IP로 연결됨. ★

 

Well-Known port

20 FTP(데이터 송수신용)
21 FTP(제어용)
22 SSH
23 TELNET
25 SMTP
53 DNS
80 HTTP
110 POP3
123 NTP
132 IMAP
443 HTTPS
587 SMTP 대체(일반적으로 서브미션이라 부름)

 

 

 

 


 

root의 홈 디렉터리 : /root

일반 사용자 홈 디렉터리 : /home/weeding

 

 

GUI -> CLI 

- ctl + alt + F2

 

CLI -> GUI

- ctl + alt + F1

 

 

** 명령어의 실체는 파일

  • 명령어는 특정 기능을 처리하는 프로그램
  • 마치 워드로 문서를 작성하고 저장할 때 생성되는 파일과 같음.
    즉, ls 명령어를 친다하면 /bin 폴더 안에 있는 ls라는 파일이 실행되는 것임!
  • 그러나, cd와 같이 셸에 내장된 명령은 따로 파일이 없을 수도 있다.

 

 

 

history로 이력 번호 확인하고 " ! 번호 " 입력하면 명령어가 실행됨. // !! -> 바로 전 명령어 실행

 

 

문자를 입력하고 Tab을 두번 누르면 후보 목록이 표시됨.

 

 

 

 

경로(path)

  • 파티션 내의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열
  • / : 최상위(루트)디렉터리
  • ./ :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
  • ../ :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상위 디렉터리
  • ~/ : 현재 로그인 중인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기본 명령어들

  • touch : 파일만들기
  • 만들 파일 nano로 들어가서 파일 안에 내용 입력해주고 나와서
  • cat으로 조회해봄

영어 -> 한글 전환은 보통 윈도우키 + 스페이스 + 한글 키

 

 


1일차 정리 끝.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