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AWS의 서비스는 광범위한 기술,
산업 및 사용 사례를 위한
200개 이상의 모든 기능을 제공하고 있음.
대표적인 서비스들로는
1. Amazon EC2 (Elastic Compute Cloud)
- 서버, OS, 소프트웨어 등을 세트로 사용이 가능
- 성능은 가변적이며 정지중에는 언제든 조절 가능.
- 다양한 사양과 자유로운 소프트웨어 설치 및 시스템 구축 가능.
2. Amazon S3 (Simle Storage Service)
- 웹 서버 및 파일 서버용 파일을 보관하는 장소(스토리지)로 사용 가능.
- 강력한 관리 기능이나 다른 서비스와 연동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음.
- 파일 크기는 최대 5TB이며, 전체 용량의 제한은 X
3. Amazon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6종류
- Amazon Aurora, PostgreSQL, MySQL, MariaDB, Oracle DB, SQL Server
- 위의 6종류를 클라우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4. Amazon VPN
- AWS 계정 전용의 가상 네트워크
- 네트워크 및 서브넷의 범위, 라우팅 테이블 및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등을 설정
- 가상 네트워크 환경 구성
5. Amazon Route 53
- DNS(Domain Name Server), 웹 서버에 필수인 DNS기능을 제공
6. Elastic IP 주소
- 서버에 필수인 정적 공인 IP 주소를 제공
- EC2 및 ELB와 조합하여 사용
7. CloudFront
- .html, .css, .js 및 이미지 파일과 같은 정적, 동적, 실시간 웹사이트 컨텐츠를 유저들에게 효율적으로 전달
- Edge Location(컨텐츠들이 캐시에 보관되어지는 장소)을 사용
- ex) 은행을 가지 않고 atm 기계를 통한 인출. = Edge Location의 예시
- Content Delivery Network(CDN)
- Distributed Network
8. Amazon SageMaker
- 머신러닝 모델 구축, 트레이닝, 배포
- 머신러닝에 자주 사용되는 주피터(Jupyer)노트북을 클라우드로 제공
9. AWS Cloud9
- 웹 브라우저로 조작이 가능한 통합 개발 도구
- 각종 언어에 대응하고 컴퓨터에 개발 도구를 설치하지 않고 시스템을 개발
10. Amazon GameLift
- 게임 호스팅 서비스
- 멀티플레이어 대전 등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짧은 대기 시간으로 제공
AWS의 비용
-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종량제
- 경우에 따라서는 자사에서 준비하는 것이 저렴
- 돌발적으로 접속 수가 늘어나는 경우 AWS가 더 효율적
가상화
- 소프트웨어처럼 구축하는 기술
- 예를 들어 가상 서버는 물리 서버 1대 위에 게스트가 되는 여러 대를 가상으로 생성
- 본래 서버에 필요한 물리적인 부품을 가상으로 생성
- 서버 복제가 쉽고 대수를 늘리거나 줄이기도 쉬움.
분산처리
- 여러 대에 분산하여 처리하는 기술
- 가상화와 분산 처리는 "이중화"에도 사용이 가능함.
SaaS / PaaS / IaaS
- SaaS는 애플리케이션까지 제공
- PaaS는 플랫폼까지 제공
- IaaS는 인프라까지만 제공
1. SaaS
- 편리함 / 자유도 ↓
- 특별한 지식 필요 X
- 단말기 외에 준비물 X
- 바로 사용이 가능하여 작업량이 ↓
2. PaaS
- 서버 관리에 대한 지식이 필요
- 경우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을 준비 필요
3. IaaS
- 서버 관리에 대한 지식 필요
- 사용하려면 셋팅 필요
- 경우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준비 필요
서버와 인스턴스
- 서버 =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이름이 다름.
- 서버 머신 1대에 여러개 같이 설치 가능
- OS가 필요함
- 서버 = 인스턴스 (AWS기준)
LAN
- PC 등을 연결한 네트워크를 LAN이라 함.
- 유선 & 무선
- 폐쇄된 네트워크 = 인트라넷
IP 주소와 DNS
- 네트워크의 장소를 특정하는 방법들
- IP 주소는 인터넷에서 호스트를 식별하는 주소
- 사설 IP & 공인 IP
- 공인 IP 주소는 인터넷에서 사용
- 사설 IP 주소는 사내 LAN & 가정 LAN에서 사용
- DNS에서 도메인명과 IP 주소는 연결되어 있음.
웹사이트와 관련된 기술
- 웹 사이트의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곳을 "웹 서버"라고 부름
- 대표적인 웹 서버용 소프트웨어는 Apache, Nginx가 있음.
- 웹 사이트의 콘텐츠는 HTML이라는 형식으로 작성
- SSH = 서버를 설정할 때 접속하는 방법
- SSL 증명서를 설치하면 통신 암호화가 가능.
Amazon EC2
- 짧은 시간에 실행 환경을 구출할 수 있는 가상 서버
- 서버와 서버에 필요한 모든것을 제공
- 바로 생성 / 바로 삭제 가능
- 인스턴스 유형 및 OS를 선택
- 인스턴스 사용량 + EBS 요금 + 통신료 + 그외 옵션
Amaon EC2의 주요 기능
1. AWS EBS
- Elastic Block Store
- AWS 클라우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토리지
- 인스턴스 스토리지로 사용 / 블록 수준 스토리지 볼륨을 제공
- 데이터에 빠르게 액세스하고 장기적으로 지속해야 하는 경우 AWS EBS가 좋음.
- 블록 수준의 원시 스토리지에 액세스해야 하는 파일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또는
-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스토리지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
- 임의 읽기 및 쓰기에 의존하는 데이터베이스 스타일 애플리케이션과
- 장시간의 지속적인 읽기 및 쓰기를 수행하는 처리량 집약적 애플리케이션에 모두 적합.
※ Volume(볼륨)
EBS로 생성한 디스크 하나하나 저장단위
2. AMI
- Amazon Machine Image
- 가상 이미지
-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기준이 되는 금형
- 인스턴스를 시작할 때 AMI를 지정해야함
- 동일한 구성의 인스턴스가 여러 개 필요할 때는 한 AMI에서 여러 인스턴스 시작 가능.
- 서로 다른 구성의 인스턴스가 필요할 때는 다양한 AMI를 사용하여 인스턴스 시작
3. 키 페어
- 인스턴스에 접속할 때 인증을 위해 사용하는 키
4. 보안 그룹
- 가상 방화벽
- 1개 이상의 인스턴스 트래픽 제한
5. Elastic IP
- 정적(고정) IPv4 주소
- 주소를 계정의 다른 인스턴스에 신속하게 대시 매핑하여 인스턴스나
- 소프트웨어의 오류를 마스킹할 수 있음.
- 도메인에 대한 DNS레코드에 탄력적 IP 주소 지정 가능.
※ 매핑
하나의 값을 다른 값으로 대입
주소가 간결해지며 보안성을 높일 수 있음.
EC2의 사용 절차
- 관리 콘솔 로그인 → EC2 인스턴스 생성 → EC2 접속 → 소프트웨어 설치/설정
인스턴스 설정 항목
- 인스턴스 유형 (장비 사양)
- 리전
- AMI
- 네트워크 (AWS의 VPC에서 선택)
- 서브넷 = 설치할 네트워크의 범위, VPC 내에 어떤 서브넷을 설치할지 선택
- IAM 역할 = 인스턴스의 접속 권한 정책 설정
- 태그(EC2 인스턴스의 레이블) = Name태그를 사용하여 인스턴스 이름에 부여
- 스토리지의 용량과 종류 = 기본적으로 EBS를 선택
- 보안 그룹 = 프로토콜별로 Port 혹은 IP 주소, 또는 양쪽 모두 필터링 설정
인스턴스 생성과 요금
1. 인스턴스 사용량(가동시간X 단가)
- 인스턴스가 가동 시간(초) 단위로 과금
- 정지하고 있는 동안은 과금 X
- 초 단위 과금
- 단위는 인스턴스 유형에 따라 다르고 고기능을 경우 비싸짐
2. EBS(스토리지) 요금 (용량 X 단가)
- 인스턴스가 사용하는 EBS 요금
- 보유한 용량 단위로 과금
- 스토리지 성능(SSD, HDD, IOPS 담보를 할지 여부 등)에 따라 단가가 달라짐
- 인스턴스와 달리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도 요금 부과
3. 통신 요금 (아웃바운드 통신 요금)
- 인스턴스의 통신 요금
- 인터넷 → 인스턴스 = 인바운드는 "무료"
- 인스턴스 → 인터넷 = 아웃바인드 "유료"
- 리전에 따라 조금 다름.
4. 그 외 옵션
- Elastic IP 서비스 등 옵션을 사용할 경우 해당 추가 요금 부과
반응형
LIST
'기초 물방울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기초 공부 기록 #3 (S3~객체버킷) (0) | 2022.03.22 |
---|---|
AWS 기초 공부 흐름정리 #2 (0) | 2022.03.22 |
생활코딩 AWS2 S3 공부 기록 (0) | 2022.03.16 |
생활코딩 클라우드 서비스 AWS 공부 기록 #1 (0) | 2022.03.16 |
AWS 기본 용어 정리 (SAA 준비) (0) | 2022.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