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 입력값을 가지고 어떤 일을 수행한 다음에 그 결과물을 내어놓는 것.
-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가치 있는 부분" 을 묶어서
'어떤 입력값을 주었을 때 어떤 결과값을 돌려준다' 라는 식의 함수로 작성
(프로그램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기 때문에 함수가 중요함★) - Input / Output / 입출력이 없는 경우도 있음★
- def 함수명 (매개변수):
<수행할 문장>
...
return 리턴 값
입력값이 없는 함수
결과값이 없는 함수
append 함수를 사용할 때 None / 즉, 출력이 없는 함수(리턴값이 x)
Pop 함수 사용 / (리턴값 o 출력이 있는 함수)
입력/출력이 없는 함수
여러 개의 입력값(*args)
키워드 파라미터 (**kwargs)
함수의 결과값은 언제나 하나이다.
매개 변수에 초깃값 미리 설정하기
함수 매개 변수에 초깃값을 설정할 때 주의할 사항
함수 안에서 선언된 변수의 효력 범위 1/2
Lambda
= 함수를 간단하게 표현하는 방법
사용자 입력과 출력
- 인자가 없는 함수
- 대표적인 예로 게시판에 글을 작성한 후 '확인' 버튼을 눌러야만 올라가는(출력)것을 확인할 수 있음.
print문
파일 읽고 쓰기
- r = 읽기모드
- w = 쓰기모드
- a = 추가모드
- 절대주소 : 처음부분(C:/)부터 주소를 써주는 것
- 상대주소 : 현재 실행하는 파일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경로를 써주는 것
파일을 쓰기 모드로 열어 출력값 얻기
readline() 함수
여러줄읽기
read() 함수 이용하기
with문과 함께 사용하기
※ immutable
- 정수, 실수, 문자열, 튜플(변하지않음)★
- 변하지 않는 자료형
- a = 1
def vartest(a):
a = a + 1
vartest(a)
print(a)
※ Mutable
- 리스트, 딕셔너리, 집합
- 변하는 자료형
- b = [1, 2, 3]
def vartest2(b):
b = b.append(4)
vartest2(b)
print(b)
Q. 주어진 자연수가 홀수인지 짝수인지 판별해 주는 함수(is_odd)를 작성해 보자.
Q. 입력으로 들어오는 모든 수의 평균 값을 계산해 주는 함수를 작성해 보시오.
(단, 입력으로 들어오는 수의 개수는 정해져 있지 않다.)

Q. 다음은 두 개의 숫자를 입력받아 더하여 돌려주는 프로그램이다.
여기에서 3과 6을 입력했을 때 9가 아닌 36이라는 결과값을 돌려주었다면
이 프로그램의 오류를 수정해 보시오.
Q. 다음 중 출력 결과가 다른 것 한개를 골라 보시오.
- print("you" "need" "python")
- print("you"+"need"+"python")
- print("you", "need", "pytyon")
- print("".join(["you", "need", "python"]))
Q. 다음은 "test.txt"라는 파일에 "Life is too short" 문자열을 저장한 후 다시 그 파일을 읽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f1 = open("test.txt", 'w')
f1.write("Life is too short")
f2 = open("test.txt", 'r')
print(f2.read())
이 프로그램은 우리가 예상한 "Life is too short" 라는 문장을 출력하지 않는다. 우리가 예상한 값을 출력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수정해 보자.
Q. 사용자의 입력을 파일(test.txt)에 저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자.
(단,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하더라도 기존에 작성한 내용을 유지하고 새로 입력한 내용을 추가해야 한다.)
user_input = input("저장할 내용을 입력하세요:")
f = open('test.txt', )
f.write(user_input)
f.write( )
f.close()
Q. 다음과 같은 내용을 지닌 파일 test.txt가 있다.
이 파일의 내용 중 'java'라는 문자열을 'python'으로 바꾸어서 저장 해보시오.
Life is too short
you need java
f = open('test.txt', 'r')
body =
f.close()
body =
f = open('test.txt', )
f.write(body)
f.close()
'기초 물방울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업 기초100제 #1 (6006~6010) (0) | 2022.08.18 |
---|---|
파이썬 클래스~모듈~예외처리~내장&외장함수 #5 (0) | 2022.07.10 |
파이썬 if~While~for문 #3 (0) | 2022.05.27 |
파이썬 튜플~딕셔너리~변수 #2 (0) | 2022.05.09 |
Python 자료형~문자형~리스트 정리 #1 (0) | 2022.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