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코딩 HTML 파트 메모용 #1
TAG
1. <strong> 강조
2. <u> 밑줄
ex)
<strong>파이썬 리눅스 <u>AWS</u></strong>
3. <h> heading, 제목을 나타내는 Tag
<h1>
<h2>
<h3>
<h4>
<h5>
<h6>
<h> Tag는 6까지만 있음
4. <br> = brick 줄바꿈
<br><br> → 여백이 늘어남
<br>은 닫는게 없음.
5. <p> paragraph tag 정보로써 더 가치있는 (문단)
CSS의 margin 속성을 사용하여 조정 가능
생활코딩부터 파이썬 리눅스 공부할게 산더미지만 차근차근 해보자!
<p>3월까지 일을하고 4월에는 공부에 집중하고 5월에는 일본을 다녀오는것!</p>
6. accessibility 접근성 (웹의 공공성)
7. 속성(Attribute)
<img src="sky.jpg" width="100%>
(순서는 상관없음 img, width)
부모자식과 목록 (li, ul)
8. <li>
9. <ul> Unordered List
10. <ol> Ordered List
11. <html> <head> <body> <meta> 슈퍼스타 (구조)
<meta charset="utf-8">
html 파일의 인코딩을 알려주는 태그
즉, 브라우저에게 text를 어떻게 그려달라는지 전달하는 것.
위 태그가 없으면 한글, 특수문자 들이 깨져 나올 수 있음.
* charset = coded character set
* UTF-8 = 가변 인코딩방식 (글자마다 byte 길이가 다름)
* 인코딩 = 웹브라우저, 컴퓨터의 HTML파일을 웹브라우저에 표시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처리작업
12. ★ <ankhor> 닻
13. html specifiacation
14. href
15. target
16. 웹사이트 완성
<!docktype html>
<html>
<head>
<title>
<meta charset="utp-8">
</head>
<body>
<h1><a href="index.html">WEB</a><h1>
<o1>
<li><a href="1.html">html</a><li>
<li><a href="2.html">css</a><li>
</o1>
<h2>HTML</h2>
<p>여기에는 제목에 맞는 설명이 들어간다</P>
</body>
</html>
17. 역사 (원시웹 primitive web)
Internet VS WEB
*인터넷이 도로라면 웹은 도로위를 달리는 자동차 한대
*인터넷이 도시라면 웹은 도시안에 있는 빌딩
1960년
인터넷의 등장
핵의 공포
이전의 통신시스템 중앙집중적
공격에 따른 대비
인터넷의 탄생
각각의 통신장치들이 일종의 전화국과 같은 역할
거대한 인프라
30년동안 전세계적으로 확산
보통 대학이나 기관에서만 사용
1990년
웹의 등장
swiss에서 탄생
팀버너스리
Enquire 프로그램 만듬
지금은 존재 X
10, 11,12월
world wide web
web server / info.cern.ch (첫 탄생)
18. 인터넷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
두대의 컴퓨터가 필요
Web Browser / http://info.cern.ch/index.html
index.html
client computer = web client
request↓ ↑response
Web Server (http://info.cern.ch)
index.html
server computer
19. HOST / HOSTING / CLOUD
인터넷에 컴퓨터를 빌려주는 비즈니스
GitHub
개발자들끼리 협업을 하기 위해 고안된 플랫폼
웹호스팅 기능 O
my > hosting < visitor
20. 웹서버 운영하기
웹브라우저는 제품명? 제품군?
= 제품군
웹서버도 마찬가지
ex) Apache , IIS, Web serve for Chrome
파일찾기(ctrl+O)
html index 파일을 열때와 웹서버를 직접 열때의 차이?
file://Destop/web/index.html (직접 연것)
http://127.0.0.1:8887/index.html
(Hyper Text Transfer Protocol=http)
(Internet Protocol Address = 127.0.0.1) ※127.0.0.1 = 나 자신 / 8887 = port
21. apache 설치 / 웹서버와 http
how to easy install apache on window
bitnami wamp stack ※Window Apache Mysql PHP
http://127.0.0.1/index.html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을 가져와서 사용하는것
file://
파일에서 가져와서 사용하는것
한대의 컴퓨터안에 웹브라우저와 웹서버가 동시에 설치 되어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컴퓨터안에 있는 웹브라우저와 웹서버가 통신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http:// 가 사용되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