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기초 물방울 107

tar, rpm, yum, 쉘, 환경변수(수업) #7

압축 유틸리티 명령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 인터넷 또는 저장매체로 배포, 백업 tar 명령 옵션 tar 명령 사용 xz 명령 gzip / gunzip 명령 bzip2 / bunzip2 명령 zip / unzip 명령 rpm(Redhat Package Manager) 명령 패키지 설치, 삭제, 검색 명령 소프트웨어(패키지)를 편리하게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짐 아키텍처(Architecture) 리눅스의 패키지는 제작된 아키텍처에 따라서 설치와 실행이 가능함 rpm 명령 (설치와 삭제) rpm 명령 (조회) yum(Yellodog Updater Modified) 명령 편리한 설치도구(rpm 기반) 패키지 의존성 해결 (->하나의 패키지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패키지 설치가 필요함) 인터..

마운트, 하드디스크추가, Quota (수업) #6

마운트 장치 또는 파티션을 사용하기 위한 과정 장치 또는 파티션과 디렉토리 연결하는 것 마운트 대상 파티션(Partition) 장치(CD/DCD, USB, 하드 디스크) 마운트 정보 보기 CD/DVD 마운트 USB 메모리 마운트 하드 디스크 추가 VMWare에서 하드 디스크 추가 실제 서버 컴퓨터에서는 하드 다스크를 서버에 장착하면 되지만, VMWare에서는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가능! 하드 디스크 파티션 및 파일 시스템 생성 위에처럼 하드 디스크를 SCSI 방식으로 추가하면 아래와 같이 됨! 하드 디스크 추가 (마운트하기) df 명령 마운트 명령보다 간략하게 파일시스템 현황 및 마운트 현황을 볼 수 있는 명령 사용자별 공간 할당 (쿼터, Quota) 여러 명의 사용자가 하나의 서버를 사용하므로 사용자 별..

프로세스, FG/BG, Pipe, 리다이렉션 (수업) #5

프로세스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로딩시켜 활성화한 것 실행중인 프로그램 Forground Process : 화면에서 실행되는 것이 보이는 프로세스 Background Process : 화면에 보이지 않으면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스 번호 (PID) : 운영체제에 의해 프로세스에 할당되는 고유 번호 Background 번호 : Background로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순차 번호 **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 :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에 종속되며,이때 종속된 프로세스는 자식 프로세스 ex) x윈도우 상에서 웹 브라우저 실행 - x윈도우 -> 부모 프로세스 - 웹 브라우저 -> 자식 프로세스 - 부모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자식 프로세스도 같이 종료됨.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 ki..

파일 디렉토리, 하드링크, 심볼링링크 (수업) #4

파일 및 디렉토리 개요 파일의 확장자가 무의미 함 파일의 정보로 파일의 종류가 결정됨 파일시스템, 장치명, 디렉토리 등 모든 것이 파일로 취급되어 운영됨 파일명의 "대소문자"를 구분하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 디렉토리의 개념 파일 및 디렉토리 기초 root Directory : 최상위 디렉토리, 슬래시(/)로 표현 Current Working Directory :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 쉘 프롬프트에 표시됨. 점(.)으로 표현 Absolute Path : root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표현하는 방식 ex) /home/shon Relative Path : 상대 경로,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표현 ex) ../home/shon, ./home/shon 상위 디렉토리 : 현재 작업 위쪽 디렉토리, 점..

사용자관리, useradd, del, su (수업) #3

사용자 관리 리눅스 운영체제는 다중 사용자용 운영체제로써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기 떄문에 사용자 관리가 필수! 1. 슈퍼유저 (Super User) 사용자 ID : root 리눅스 시스템의 관리와 모든 접근 권한을 가짐 일반 사용자를 생성 관리 1-1 슈퍼유저의 권한 하드웨어 설치 소프트웨어 설치 및 삭제, 업그레이드 시스템 감시 및 관리 네트워크 설정 및 테스트 일반 사용자 계정 생성 및 삭제 관리 시스템 백업 2. 그룹(Group) 관리 사용자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일반 사용자들은 그룹으로 묶어 관리함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거나 그룹을 삭제하는 권한은 슈퍼유저에게 있음. 그룹별로 권한을 다르게 부여, 시스템접근 제어 가능! 3. 사용자 및 그룹(Group) 관련 파일 /etc/pass..

vi편집기, 명령어, swap (수업) #2

vi 편집기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문서 편집기 컴퓨터 프로그램 작성용 목적으로 제작됨 설정 파일 수정 및 간단한 문서 작성 도구 리눅스 사용에 필수 도구! vi 편집기 모드 하나의 네트워크를 작은 네트워크로 분할함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는 값으로 사용됨 IP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나눌 수 있음! vi test test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 test 파일을 읽어옴 test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 test 파일을 생성! vi 편집기 사용하기 입력 명령을 이용하여 입력 입력이 종료되면 ESC키를 반드시 입력하여 종료! 커서 이동 명령어 / 삭제 명령어 복제 명령어 문자나 라인을 버퍼에 복사해 두었다가 원하는 위치에 붙여 넣는 명령어 검색 명령어 문..

리눅스 개요, Run-Level, (재)부팅 (수업) #1

운영체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적으로 관리하여 유기적으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사용자와 컴퓨터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 리눅스 1991년 8월 리눅스 토발스가 어셈블리어로 Kernel 버전 0.0.1 제작 1992년 인터넷에 소스 코드 공개하면서 리눅스가 탄생 Kernel을 기반으로 Compiler, Shell, 기타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시켜 배포판에 이름을 붙여 배포 GNU 프로젝트에 의해 완성됨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제작, 프로그램 수정 제한 철폐) --> GNU Linux가 정확한 표현 배포판(Distribution) 자유 소프트웨어의 GPL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많은 기업들이 리눅스 Kernel을 ..

RFID, NFC, VoIP,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수업) #13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전파를 정보 전송의 매체로 이용하여 가까이 있는 각종 정보처리기기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게 하는 네트워크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의 가까운 거리에서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 중계장치 간의 통신 기능을 담당 사물인터넷에서 근거리 센서 네트워크로 활용 무선 LAN 주로 ISM 밴드인 2.4GHz, 5GHz를 사용 IEEE 802.11ah는 900MHz 밴드를 사용 ZigBee 소형, 저전력, 근거리의 무선 통신 기술 -> 사물인터넷에서 많이 사용! IEEE 802.15.4 표준 2.4GHz를 사용 전송 속도 : 250kbps 통신 연결 시간 : 30ms 통신 범위 : 100m Bluetooth IEEE 802.15.1 표준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2.4GHz ~ 2.485GHz 사용 전송..

암호화, 복호화, 네트워크보안기술 (수업) #12

암호화 Encryption 평문을 암호문으로 만드는 과정 복호화 Decryption 암호문을 평문으로 복원하는 과정 보안 강도 암호화 알고리즘이나 암호시스템의 "암호키를 찾아내는데 걸리는 작업량", 또는 해시 함수의 "취약성을 찾아내는데 소요되는 작업량"을 수치화한 것 40, 80, 112, 128, 256 등 비트로 정의 해시 함수 임의의 길이의 정보를 입력 받아서 "고정된 길이의 암호문(해시 값)"을 만듦 해시 함수를 이용하면 비밀번호를 암호문으로 생성할 수 있음. 단, 원래의 비밀번호를 알아낼 수는 없음! 메시지 인증 해시 함수는 "메시지의 위조, 변조 확인"에 사용 암호화의 목적 기밀성 :: Confidentiality, 허가된 사람 이외에는 그 내용을 알아볼 수 없음. 무결성 :: Integri..

VPN, VLAN, VTP, Trunk (수업) #11

VPN (Virtual Private Network) 글로벌 환경에서 기업이나 기관의 본사와 멀리 떨어져 있는 지사를 통신 서비스 제공사업자(ISP)의 공중 인터넷 네트워크 자원을 활용하여 상호 연결한 가상의 사설 네트워크 물리적으로 사설 네트워크를 구축한 것이 아니라, "공중 인터넷 네트워크 자원을 활용하여 구축한 가상의 사설 네트워크" 인터넷과 같은 공중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마치 전용회선을 사용하여 사설 네트워크를 구축한 것과 같은 정보보안 효과" 를 가지는 네트워크 "암호화 기술을 적용"하여 중간에 거치게 되는 공중 네트워크 구간에서 보안 ATM 네트워크에서 가상회선인 VP와 VC를 이용하여 MPLS VPN을 제공 TCP/IP 네트워크에서 IP에 보안 기능을 추가하여 IPsec VPN을 제공 사설..

반응형
LIST